○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욕되지 아니함
○ 知(알지) 足(발 족) 不(아닐 불) 辱(욕될 욕)

모든 일에 분수(分數)를 알고 만족(滿足)하게 생각하면 모욕(侮辱)을 받지 않음을 뜻한다. 10년 정진하여 生佛(생불)의 경지에 오른 知足禪師(지족선사)도 黃眞伊(황진이)의 하룻밤 유혹에 넘어가 도로아미타불이 된다. 현재의 것으로 만족함을 안다면(知足) 욕되지 않는다(不辱)는 가르침은 말은 쉬워도 그만큼 어려운 것이다.

이 성어는 ‘道德經(도덕경)’에서 나왔다. 春秋時代(춘추시대) 말기 道敎(도교)의 창시자인 老子(노자)의 책이다. 조금 뒤에 태어난 儒家(유가)의 孔子(공자)와 모든 면에서 대립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중시하고 현실참여를 택하는 유가에 비해 道家(도가)는 드러나지 않게 자연 그대로의 無爲(무위)를 주장한다. 만족함을 알라는 깨우침도 名利(명리)의 가치관을 배격하는 노자의 특징을 드러낸다. 이 성어가 나오는 44장의 내용을 보자. 명성과 생명 어느 것이 더 중하며, 신체와 재산 중 어느 것이 귀한가 묻고, 지나치게 아끼면 큰 낭비가 따르고 쌓아두기만 하면 더 잃게 된다며 이어진다.

‘만족을 알면 욕되지 않고, 적당히 그칠 줄 알면 오래도록 편할 수 있다(知足不辱 知止不殆 可以長久/ 지족불욕 지지불태 가이장구).’ 비슷한 내용은 곳곳에 있다. 46장에는 ‘만족을 알지 못하는 것보다 더 큰 화가 없고, 욕심을 내어 탐하는 것보다 더 큰 허물은 없다(禍莫大於不知足 咎莫大於欲得/ 화막대어부지족 구막대어욕득)’로 가르친다. 족한 것을 알고 현재에 만족하는 사람은 부자라는 ‘知足者富(지족자부)‘는 33장에 나오는 성어다.

‘明心寶鑑(명심보감)’도 빠질 수 없다. ‘항상 만족함을 알면 평생 욕됨이 없고, 항상 그칠 줄 알면 종신토록 부끄러움이 없다(知足常足 終身不辱 知止常止 終身無恥/ 지족상족 종신불욕 지지상지 종신무치).’ 安分(안분)편에 실려 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효학반ㅣ斅學半]  (4) 2024.01.31
[미대부도ㅣ尾大不掉]  (2) 2024.01.26
[군신수어ㅣ君臣水魚]  (2) 2024.01.24
[엄이도령ㅣ掩耳盜鈴]  (0) 2024.01.23
[모순ㅣ矛盾]  (0) 2024.01.18



○ 임금과 신하는 물과 물고기와 같다
○ 君(임금 군) 臣(신하 신) 水(물 수) 魚(물고기 어)

임금과 신하(臣下), 물과 물고기란 뜻으로,떨어질 수 없는 친밀(親密)한 관계(關係)를 나타냄

삼국(三國) 시대(時代) 때, 위(魏)나라 조조(曹操)는 강북의 땅을 평정(平定)하고 오(吳)나라 손권(孫權)은 강동의 땅에 의거하여 각각 세력(勢力)을 강화하고 있었다. 하지만 촉(蜀)의 유비(劉備)는 확실한 근거지를 확보(確保)하지 못한 상태였다. 유비(劉備)에게는 관우(關羽)와 장비(張飛) 등의 용장은 있었지만 모사(謀士)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한 때에 제갈공명(諸葛孔明)을 군사(軍師)로 맞이할 수 있었으니 유비(劉備)의 기쁨은 대단했다.

제갈공명(諸葛孔明)은 형주(荊州)와 익주(益州)를 제압해 근거지로 삼을 것, 서쪽은 융(戎)과 화목하고, 남쪽은 월(越)을 회유해 후환을 없앨 것, 정치(政治)를 고르게 하여 부국강병(富國强兵)의 실을 거둘 것, 손권(孫權)과 손잡아 조조(曹操)를 고립시키고, 기회(機會)를 보아 조조(曹操)를 무찌를 것 등을 헌책했다. 유비(劉備)는 전폭적인 신뢰를 공명(孔明)에게 쏟고, 군신의 정은 날로 더해 갔다. 관우(關羽)와 장비(張飛)는 이를 탐탁하게 여기지 않았다.

신예인데다가 나이 또한 젊은 공명(孔明)이 더 중요시(重要視)되고 자신들은 업신여김 받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었다. 그 때 공명(孔明)은 27세로 유비(劉備)보다 20세나 연했다. 이것을 알아챈 유비(劉備)는 관우(關羽)와 장비(張飛)를 달래어 말했다. 「나에게 공명(孔明)은 물고기에게 물이 있는 것과 같다. 두말 없기를 바란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대부도ㅣ尾大不掉]  (2) 2024.01.26
[지족불욕ㅣ知足不辱]  (2) 2024.01.25
[엄이도령ㅣ掩耳盜鈴]  (0) 2024.01.23
[모순ㅣ矛盾]  (0) 2024.01.18
[소력탈국ㅣ消力奪國]  (0) 2024.01.17



○ 제 귀를 막고 방울 훔치다
○ 掩(가릴 엄) 耳(귀 이) 盜(도둑 도) 鈴(방울 령)

인간은 어리석은 일을 곧잘 저지른다. ‘여씨춘추(呂氏春秋)’ 불구론(不苟論)의 자지편(自知篇)에 나오는 엄이도령(掩耳盜鈴)이 바로 이런 경우를 말하는 성어다.

중국 춘추시대 진(晉)에는 나라를 좌지우지하는 여섯 가문이 있었다. 권력투쟁 과정에서 범씨(范氏)와 중항씨(中行氏)가 먼저 망했다. 그때 범씨 집에 침투해 유명한 종을 훔치려는 자가 있었다. 그러나 종이 너무 무거워 들고 갈 수 없었다.

도둑은 종을 조각 내 가져가려고 망치로 쳤다. 종소리가 크게 날 수밖에. 놀란 도둑은 남들에게 들리지 않게 한답시고 자기 귀를 막았다. 이 이야기에서 알 수 있듯이 원래는 엄이도종(掩耳盜鐘), 종을 훔치는 것이었으나 후세에 내려오면서 크기가 작은 방울로 바뀌었다. 엄이투령(掩耳偸鈴)도 같은 말이다.

임금이 바른말을 하는 신하를 소중히 여겨야 한다는 것이다. 자기가 듣지 못한다고 남도 자기의 잘못을 모르는 줄 아는 지도자는 엄이도령의 도둑과 똑같다. 비슷한 말로 엄목포작(掩目捕雀) 폐목포작(閉目捕雀)을 들 수 있다. 눈을 가리고 참새를 잡는다는 뜻인데, 제 눈을 가리면 참새가 나를 못 본다고 생각하는 어리석음을 말한다. 눈 가리고 아웅, 눈 감고 아웅, 눈 벌리고 아웅, 귀 막고 아웅, 다 비슷한 속담이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족불욕ㅣ知足不辱]  (2) 2024.01.25
[군신수어ㅣ君臣水魚]  (2) 2024.01.24
[모순ㅣ矛盾]  (0) 2024.01.18
[소력탈국ㅣ消力奪國]  (0) 2024.01.17
[지록위마ㅣ指鹿爲馬]  (0) 2024.01.16



○ 말이나 행동의 앞뒤가 서로 일치되지 아니함
○ 矛(창 모) 盾(방패 순)

창과 방패(防牌)라는 뜻으로,말이나 행동(行動)의 앞뒤가 서로 일치(一致)되지 아니함

논리학에서는, 두 개의 개념이나 명제(命題) 사이에 의미 내용이 서로 상반되는 관계를 말한다. 중국 전국시대의 초(楚)나라에서, 창과 방패를 파는 상인이 '이 창은 예리하기로 어떤 방패라도 꿰뚫을 수가 있다. 그리고 이 방패의 견고함은 어떤 창이나 칼로도 꿰뚫지 못한다.'고 자랑하였다. 어떤 사람이 '자네의 창으로써 자네의 방패를 찌르면 어떻게 되는가?' 하고 물었더니 상인은 대답하지 못하였다고 한다.《한비자(韓非子)》 난일(難一) 난세편(難世篇)에 있는 고사(故事)로, 법지상주의자(法至上主義者)인 한비(韓非)가 유가(儒家)의 덕치주의를 비판한 우화이다.

유가에서 말하기를, ‘역산(歷山)의 농장에서 농지의 경계 때문에 분쟁이 있어 성인(聖人)인 순(舜)임금이 가서 몸소 일을 하였더니 1년에 분쟁이 사라지고, 황하지역에서 어장 문제로 분쟁이 있어 순임금이 가서 낚시질을 하였더니 이도 1년 만에 해결되었고, 동방의 이민족이 만드는 도기(陶器)가 조악(粗惡)하여 순임금이 가서 그릇을 만들었더니 이도 1년 만에 품질이 향상되었다. 이 모두가 순임금의 덕(德)에 의한 감화(感化)이다.’라고 하였다.

한비는 순임금이 유덕(有德)한 성인이라면 농부나 어부가 다투지 않을 것이요, 도기도 우량품으로 만들었다면 순임금이 덕을 베풀 여지가 있었겠는가. 순임금이 덕을 베풀어 분쟁이 해결되고 도기의 품질이 향상되었다는 것은 요(堯)임금에게 실정이 있었다는 것이 된다. 순임금을 성인이라고 하기 위해서는 요임금의 치세를 부정하지 않을 수 없고, 요임금을 성인이라고 하기 위해서는 순임금의 덕화(德化)를 부정하지 않을 수 없다고 하였으며, 마치 '창과 방패의 이치와 같은 것이 아니겠는가'라고 하여 순임금의 치세를 칭송하고 있는 유가의 설을 논란한 것이다.

전통적 논리학에서는 같은 주어에 대하여 서로 부정하는 판단을 내린 것을 연립시킨 명제의 성질이다. 현대 논리학에서는 하나의 명제와 이의 부정이 동시에 성립됨을 주장하는 명제이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신수어ㅣ君臣水魚]  (2) 2024.01.24
[엄이도령ㅣ掩耳盜鈴]  (0) 2024.01.23
[소력탈국ㅣ消力奪國]  (0) 2024.01.17
[지록위마ㅣ指鹿爲馬]  (0) 2024.01.16
[견광ㅣ狷狂]  (0) 2024.01.14


 
○ 힘을 빠지게 한 뒤 나라를 빼앗다
○ 消(사라질 소) 力(힘 력) 奪(빼앗을 탈) 國(나라 국) 
 
움터에서는 계책을 써야 할 뿐만 아니라 속임수를 쓰는 것도 부끄러워하거나 싫증을 내어서는 안 된다고 兵不厭詐(병불염사)란 말이 가르친다. 대표적인 병법서 孫子兵法(손자병법)에서도 전쟁이란 속이는 것이라며 강한 전투력이 있으면서도 없는 것처럼 보이게 하고, 가까운 곳을 노리면서도 적에게는 먼 곳을 노리는 것처럼 보이게 해야 한다고 했다. 混水摸魚(혼수모어)란 것이 있다. 三十六計(삼십육계)의 하나인데 물을 흐리게 하여 고기를 잡는다는 계책이다. 적의 내부에 잠입하여 적진을 교란하고 지휘본부를 혼란에 빠뜨린다. 
 
교묘한 수로 적국의 힘을 빠지게 한(消力) 다음 그 나라를 침공하여 빼앗는다(奪國)는 이 성어도 속임수를 이용한 것에서 마찬가지다. 三國史記(삼국사기)와 古今淸談(고금청담) 등에서 우리나라 고사성어를 수집, 정리한 임종대의 ‘韓國故事成語(한국고사성어)’에 百濟(백제)의 蓋鹵王(개로왕, 455〜475)을 예로 들고 있다. 21대 왕인 개로왕은 즉위 초에는 나라를 정비하고 부국강병을 위해 전력을 기울였다. 高句麗(고구려)와의 사이가 좋지 않을 때라 남쪽 변경을 수시로 공략하여 피해를 줬다. 그런데 개로왕에게 약점이 하나 있었으니 바둑을 무척 즐긴다는 것이다. 수가 높은 사람을 보면 누구든 궁중으로 불러들여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대국에 빠졌다.  
 
어느 날 道琳(도림)이라는 스님이 개로왕을 찾아왔다. 자신은 고구려의 승려로 죄를 지어 백제로 도망 왔는데 왕의 바둑이 높다는 소문을 듣고 한 수 배우러 왔다고 했다. 도림은 長壽王(장수왕)이 백제의 국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첩자로 보낸 사람이었다. 그것을 알 수 없는 개로왕은 도림의 높은 바둑 수에 매료되고 말았다. 빈객으로 대접을 받던 도림이 왕에게 백제는 산이 험준하여 적국이 잘 넘보지 못하므로 궁궐을 크게 지어 위엄을 나타내는 것이 좋겠다고 말했다. 옳다고 생각한 왕은 나라의 장정을 동원하여 큰 궁궐을 완성했고, 국고를 채우기 위해 가혹하게 세금을 거뒀다. 노역에 찌든 백성들의 원성이 하늘을 찌르자 도림이 살짝 고구려로 빠져나간 뒤 공격하게 했다. 뒤늦게 속은 것을 안 개로왕은 도망쳤으나 阿且城(아차성)에서 살해됐다. 漢城百濟(한성백제)도 막을 내리게 된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엄이도령ㅣ掩耳盜鈴]  (0) 2024.01.23
[모순ㅣ矛盾]  (0) 2024.01.18
[지록위마ㅣ指鹿爲馬]  (0) 2024.01.16
[견광ㅣ狷狂]  (0) 2024.01.14
[면리장침ㅣ綿裏藏針]  (4) 2024.01.13


 
○ 사슴을 말이라 함. 거짓된 행동으로 윗사람을 농락
○ 指(가리킬 지) 鹿(사슴 록) 爲(할 위) 馬(말 마)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한다라는 뜻으로, ①사실(事實)이 아닌 것을 사실(事實)로 만들어 강압(强壓)으로 인정(認定)하게 됨 ②윗사람을 농락(籠絡)하여 권세(權勢)를 마음대로 함 
 
진시황은 천하를 통일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죽고 맙니다. 이때 그의 죽음을 틈타 권력을 농락(籠絡)한 자가 환관 조고였습니다. 그는 진시황이 후사로 지명한 맏아들 부소를 계략을 세워 죽이고 그 동생인 호해를 2세 황제로 옹립하죠. 그러고는 승상 이사도 죽음으로 몰아넣은 후 이번에는 스스로 황제에 오르기 위해 자신이 옹립한 황제를 허수아비로 만드는데, 그때 사용한 방법이 바로 지록위마입니다. 
 
조고가 사슴을 황제에게 바치며 “말입니다.”라고 하자 황제 호해는 “어찌 사슴을 말이라 하는가?” 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미 조고의 권력에 겁을 먹은 주위 신하들은 모두 나서 말이라 말하지요. 이에 호해는 자신의 판단력을 의심하면서 정사에서 손을 뗍니다. 결국 호해도 조고에게 죽임을 당하고, 조고는 다시 자영을 3세 황제로 임명하고 자신이 권력을 실질적으로 휘두릅니다만 그 또한 자영의 계략에 빠져 죽임을 당합니다. 그런 와중에 진나라의 국세는 기울었고, 전국에서 일어난 반란의 불길 속에 멸망하지요. 그리고 얼마간의 혼란기를 거친 후 천하를 통일한 것이 한나라 시조 유방(劉邦)입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순ㅣ矛盾]  (0) 2024.01.18
[소력탈국ㅣ消力奪國]  (0) 2024.01.17
[견광ㅣ狷狂]  (0) 2024.01.14
[면리장침ㅣ綿裏藏針]  (4) 2024.01.13
[신공귀부ㅣ神工鬼斧]  (2) 2024.01.12


 
○ 지나치게 양 극단에 치우친 행동을 함
○ 狷(성급할 견) 狂(미칠 광) 
 
뜻이 너무 커서 과장(誇張)이 심한 사람과 지식(知識)이 부족(不足)하여 너무 의리(義理)만 고집하는 사람에 대(對)하여, 모두 지나치게 양 극단에 치우친 행동(行動)을 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이르는 말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력탈국ㅣ消力奪國]  (0) 2024.01.17
[지록위마ㅣ指鹿爲馬]  (0) 2024.01.16
[면리장침ㅣ綿裏藏針]  (4) 2024.01.13
[신공귀부ㅣ神工鬼斧]  (2) 2024.01.12
[군맹무상ㅣ群盲撫象]  (0) 2024.01.11



○ 솜 속에 바늘을 감추어 꽂는다는 뜻
○ 綿(솜 면) 裏(속 리) 藏(감출 장) 針(바늘 침)

솜 속에 바늘을 감추어 꽂는다는 뜻으로,겉으로는 부드러운 듯하나 속으로는 아주 흉악(凶惡)함을 이름, 겉모습은 부드러우나 마음 속에는 품은 생각이 있다는 것을 이르는 말.

'솜 안에 바늘을 감춘다'라는 뜻으로, 겉과 속이 다르다는 것을 말한다. 중국 원(元)나라의 화가이며 서예가인 조맹부(1254∼1322)의 《발동파서(跋東坡書)》에 실려 있는 내용에서 유래한 말이다.

중국 북송(北宋) 때의 시인 소동파(蘇東坡:1036∼1101)는, 자신의 글씨가 '솜 안에 숨겨져 있는 쇠와 같다[綿裏鐵]'라고 표현하였다. '면리철'은 겉으로 보기에는 부드러우나 마음 속은 꿋꿋하고 굳세다는 뜻에서 외유내강(外柔內剛)을 나타낸다. 그러나 면리철은 '솜 안의 바늘'이라는 '면리침(綿裏針)'으로 쓰이면서 의미가 달라져 웃음 속에 칼이 숨겨져 있다는 '소리장도(笑裏藏刀)'와 비슷한 뜻으로 사용되었다. 겉보기에는 미소를 띠고 부드러운 척하지만 속으로는 몰래 칼을 갈듯 사람을 칠 준비를 하고 있다는 뜻이다.

솜뭉치 속에 바늘을 감출 만큼 겉으로 보기에는 약하고 부드러워 보이는 듯하지만 속으로는 몹시 악한 마음을 숨기고 있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록위마ㅣ指鹿爲馬]  (0) 2024.01.16
[견광ㅣ狷狂]  (0) 2024.01.14
[신공귀부ㅣ神工鬼斧]  (2) 2024.01.12
[군맹무상ㅣ群盲撫象]  (0) 2024.01.11
[견여금석ㅣ堅如金石]  (0) 2024.01.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