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을 이해하는 꽃, 미인을 가리키는 말
○ 解(풀 해) 語(말씀 어) 花(꽃 화) 
 
말을 아는 꽃이라는 뜻으로, ①미녀(美女)를 일컫는 말 ②기생(妓生)을 달리 이르는 말로, 말을 이해하는 꽃이란 바로 미인을 가리킨다. 아주 아름다운 꽃으로 비유한다고 해도 여성을 인간으로 보지 않은 이 말에 요즘은 불쾌하게 여기는 사람이 더 많을 것이다. 더군다나 옛날 권세가들의 노리개가 흔히 되었던 妓生(기생)을 가리키는 말도 되니 미인도 반대할 말이다. 
 
이 성어가 처음 나온 것은 중국 唐(당)나라 6대 玄宗(현종, 재위 712~756) 때이니 1300년도 더 전이다. 왕의 마음을 빼앗아 나라를 기울게 한다는 미인 傾國之色(경국지색)이라면 楊貴妃(양귀비)를 연상하는데 실은 훨씬 앞서 漢武帝(한무제)의 李夫人(이부인)을 가리켰다. 양귀비는 중국의 4대 미인을 나타내는 沈魚落雁(침어낙안)과 閉月羞花(폐월수화) 중 꽃도 부끄러워 한다는 羞花(수화)에 해당돼, 말을 알아듣는 꽃과 이 말과 함께 꽃과는 많이 비교된 셈이다. 
 
양귀비는 원래 현종의 18번째 아들인 壽王(수왕)의 妃(비)였으나 약간 통통했던 미모가 황제의 눈에 띄어 도교사원에 보내졌다가 貴妃(귀비)로 책봉됐다. 빼어난 용모뿐 아니라 가무, 음률에도 능통해 현종의 혼을 쏙 빼 놓았다. 하루는 왕이 비빈과 궁녀들을 데리고 長安(장안)의 太液池(태액지)란 연못에 핀 연꽃을 감상하고 있었다. 주위 사람들이 모두 연꽃을 보며 감탄하고 있을 때 황제가 양귀비를 가리키며 물었다. ‘이 꽃들과 나의 말을 알아듣는 꽃과 견줄 만한가(爭如我解語花/ 쟁여아해어화)?’ 아무리 연꽃이 아름다워도 양귀비에 빠진 현종의 눈엔 미치지 못했던 모양이다. 五代(오대) 때의 王仁裕(왕인유)가 엮은 ‘開元天寶遺事(개원천보유사)’에 실려 전하는 이야기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취호탈ㅣ巧取豪奪]  (0) 2024.04.11
[유취만년ㅣ遺臭萬年]  (0) 2024.03.30
[고목후주ㅣ枯木朽株]  (0) 2024.03.27
[임연선어ㅣ臨淵羨魚]  (0) 2024.03.25
[세불아연ㅣ歲不我延]  (4) 2024.03.23



○ 교묘한 수단으로 빼앗아 취한다
○ 巧(교묘할 교) 取(취할 취) 豪(호걸 호) 奪(빼앗을 탈)

정당하지 않은 방법에 의해 남의 귀중한 물건을 가로채는 것을 비유한다. 교묘한 수단으로 빼앗아 취한다.

송나라에 유명한 화가 미불이 있었다. 그에게는 미우인 (米友仁)은 이라는 아들이 있었는데, 아버지 만큼이나 그림에 뛰어나 소미라는 칭호가 덧붙여졌다. 그는 옛 선배 화가들의 작품을 좋아하여 닥치는 대로 모았다.

어느 날 그가 배를 타고 가는데, 어떤 사람이 왕희지의 진품 서첩을 갖고 있는 것을 보고, 내심 쾌재를 불렀다.

그는 본래 남의 작품을 그대로 묘사할 수 있는 재주가 있었으므로 잠깐 동안이면 거의 진품이나 모사품을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쉽게 그릴 수 있었다. 어떤 경우는 서첩의 주인이 가지고 갈 때는 눈치를 채지 못하다가 얼마 후에 다시 찾아와 진품을 돌려 달라고 항의하는 경우도 많았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어화ㅣ解語花]  (2) 2024.04.25
[유취만년ㅣ遺臭萬年]  (0) 2024.03.30
[고목후주ㅣ枯木朽株]  (0) 2024.03.27
[임연선어ㅣ臨淵羨魚]  (0) 2024.03.25
[세불아연ㅣ歲不我延]  (4) 2024.03.23


 
○ 더러운 이름을 후세에 오래도록 남기다
○ 遺(남길 유) 臭(냄새 취) 萬(일 만 만) 年(해 년) 
 
냄새가 만 년에까지 남겨진다는 뜻으로, 더러운 이름을 영원(永遠)히 장래(將來)에까지 남김 
 
이 말은 流芳百世(유방백세)와 대구를 이뤄 한 때의 잘못 판단으로 좋은 이름이 나쁘게 변할 수 있다는 교훈도 준다. 房玄齡(방현령) 등이 편찬한 ‘晉書(진서)’ 열전 중 桓溫(환온)편에 이런 이야기가 실려 있다.  
 
晉(진)나라와 북방 이민족들은 오래 전부터 마찰을 빚어왔다. 환온이 세 차례에 걸쳐 북벌을 단행, 氐族(저족, 氐는 오랑캐 저), 羌族(강족, 羌은 오랑캐 강), 鮮卑族(선비족)에 치명적인 타격을 가했다. 북방민족은 이후 중원을 넘보지 못했고 환온은 국방장관인 大司馬(대사마)에 올라 제후들 보다 높은 특별대우를 받았다.  
 
기고만장해진 환온은 황제가 되려는 야심을 품고 이렇게 말했다. ‘대장부가 이미 훌륭한 명성을 후세에 전할 수 없다면 나쁜 이름인들 만세에 남길 수 있겠는가(既不能流芳後世 不足復遺臭萬載邪/ 기불능유방후세 부족부유취만재야).’ 간사할 邪는 여기선 그런가 야. 61세가 되어 병석에 누웠어도 환온은 야망을 버리지 못하다 재상 謝安(사안)의 저지로 초기의 명성은 사라지고 자신의 뜻대로 오명의 대명사가 됐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어화ㅣ解語花]  (2) 2024.04.25
[교취호탈ㅣ巧取豪奪]  (0) 2024.04.11
[고목후주ㅣ枯木朽株]  (0) 2024.03.27
[임연선어ㅣ臨淵羨魚]  (0) 2024.03.25
[세불아연ㅣ歲不我延]  (4) 2024.03.23


 
○ 마른 나무와 썩은 나무 등걸
○ 枯(마를 고) 木(나무 목) 朽(썩을 후) 株(그루 주) 
 
「마른 나무와 썩은 등걸」이라는 뜻으로, 쓰이지 못하는 사람이나 물건(物件)을 비유(比喩ㆍ譬喩)하는 말. 
 
이 말이 처음 나타나는 곳은 漢(한)나라 景帝(경제)때 鄒陽(추양)의 ‘옥중에서 양왕에게 올리는 글(獄中上梁王書/ 옥중상양왕서)’에서다. 司馬遷(사마천, 기원전 145년~80년)의 ‘史記(사기)’ 魯仲連鄒陽列傳(노중련추양열전)에 실려 전한다.  
 
추양은 심지가 곧은 학자로 뛰어난 문장력을 갖고 있었다. 처음 오왕 劉濞(유비, 濞는 물소리 비)가 반란을 일으키는 것을 간하다가 듣지 않자 추양은 양왕 劉武(유무)에 의탁했다. 추양의 재능을 시기한 그곳의 신하들이 모함하는 바람에 왕은 도리어 옥에 가두어 버렸다.  
 
추양은 탄원서를 썼다. ‘아무런 연고도 없이 불쑥 나타난다면 귀한 明月珠(명월주)나 夜光璧(야광벽)을 던지더라도 원망을 살 뿐 덕으로 여기지 않습니다. 그러나 마른 나무와 썩은 등걸일지라도 누군가 미리 이야기를 해 준다면 공을 세울 수 있습니다(故無因至前 雖出隨侯之珠 夜光之璧 猶結怨而不見德 故有人先談 則以枯木朽株樹功而不忘/ 고무인지전 수출수후지주 야광지벽 유결원이불견덕 고유인선담 즉이고목후주수공이불망).’ 왕은 즉각 추양을 석방하고 상객으로 모셨다. 
 
여기에서 추양은 명월주와 야광벽 같은 보물에 비유하고 못 알아본 사람에 의해 옥에 갇혔지만 자신을 모함한 사람들은 마른 나무, 썩은 등걸인데도 추천을 받아 높은 벼슬자리에 있다고 야유한 것이다. 이처럼 아무 쓸모없는 사람이나 물건을 가리키던 이 말은 자신을 낮추는 말로 쓰이거나 나이가 들어 몸이 쇠약함을 일컫는데 쓰이는 것으로 확대됐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취호탈ㅣ巧取豪奪]  (0) 2024.04.11
[유취만년ㅣ遺臭萬年]  (0) 2024.03.30
[임연선어ㅣ臨淵羨魚]  (0) 2024.03.25
[세불아연ㅣ歲不我延]  (4) 2024.03.23
[등고자비ㅣ登高自卑]  (3) 2024.03.19



○ 연못 가까이서 고기를 부러워하다
○ 臨(임할 임) 淵(못 연) 羨(부러워할 선) 魚(물고기 어)

물고기가 많이 뛰노는 연못가에서(臨淵) 하염없이 앉아 입맛을 다시며 부러워해도(羨魚) 헛물만 켠다. 조금 천천히 잡더라도 집에 돌아가서 그물을 짜는 것이 물고기를 더 빨리 잡는 길이다. 바라기만 하고 실제로는 아무 것도 하지 않는데 무엇이 이루어질까. 헛된 욕심을 부리는 것보다는 그것을 이루기 위하여 실천하는 것이 유익하다. 우리 속담을 인용하면 ‘부뚜막의 소금도 집어넣어야 짜다’거나 ‘우물가에서 숭늉 찾는다’,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 등등이 들어맞는다.

아무리 좋은 조건이 마련되었거나 손쉬운 일이라도 힘을 들여 이용하지 않으면 무용지물이란 뜻이다. 부러워할 羨(선)은 군침을 흘린다는 본뜻이 있는데 羨望(선망)으로 많이 쓴다. 이 성어는 약간씩 다른 표현으로 여러 곳에서 나타난다. 중국 前漢(전한)의 淮南王(회남왕) 劉安(유안)이 저술한 책 ‘淮南子(회남자)’ 說林訓(설림훈)에는 ‘물의 근원을 막는 사람은 목이 마를 것이고, 근본을 등지는 사람은 몸이 마를 것이다.

강가에 서서 고기를 부러워하는 것보다는 집으로 돌아가 그물을 짜는 것만 못하다(塞其源者竭 背其本者枯.. 臨淵羨魚 不如歸家結網/ 색기원자갈 배기본자고.. 임연선어 불여귀가결망).’前漢(전한)의 유학자 董仲舒(동중서)가 武帝(무제)에게 올린 ‘賢良對策(현량대책)’에서는 똑같은 뜻으로 ‘옛사람의 말에 연못가에 앉아 물고기를 부러워하는 것은 물러나서 그물을 짜는 것이 낫다고 했습니다(古人有言曰 臨淵羨魚 不如退而結網/ 고인유언왈 임연선어 불여퇴이결망)’라고 했다.또 春秋時代(춘추시대) 老子(노자)의 제자 文子(문자)가 쓴 ‘문자’에서 ’강가에 앉아 물고기를 탐하는 것은 집으로 돌아가 그물을 짜는 것만 못하다(臨河而羨魚 不如歸家結網/ 임하이선어 불여귀가결망)‘라고 표현했다. 어느 것이나 목적을 이루려면 헛된 욕심을 버리고 그만한 노력의 과정이 따라야 한다는 것을 말해 준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취만년ㅣ遺臭萬年]  (0) 2024.03.30
[고목후주ㅣ枯木朽株]  (0) 2024.03.27
[세불아연ㅣ歲不我延]  (4) 2024.03.23
[등고자비ㅣ登高自卑]  (3) 2024.03.19
[호모부가ㅣ毫毛斧柯]  (2) 2024.03.17



○ 세월은 날 위해 기다려주지 않는다
○ 歲(해 세) 不(아닐 불) 我(나 아) 延(늘일 연)

배움과 공부의 시간은 많고 긴 것 같아도 금세 사라질 만큼 짧고 적다. 어제가 여름이었던 것 같은데 섬돌 앞 오동나무에는 벌써 가을 소리가 깊다. 주희(朱熹·1130~1200)의 권학시 ‘우성(偶成)’을 읽어본다. “소년은 늙기 쉽고 학문은 이루기 어려우니/짧은 시간이라도 가벼이 여기지 말라/못가에 돋은 풀이 봄꿈에서 깨기도 전에/섬돌 앞 오동나무 잎 벌써 가을 소리로구나.”[少年易老學難成 一寸光陰不可輕 未覺池塘春草夢 階前梧葉已秋聲]

옛날 학생들이 암송했던 시이다. 제목은 우연히 지었다는 뜻이지만 짧은 네 구절에 주희의 평생 공부가 들어 있다. 1900년대 초 우리나라에 등장한 ‘학도가’는 가사가 제각각이다. 그중 작사자, 작곡자가 미상인 노래에도 ‘소년은 이노하고 학난성이니 일촌의 광음인들 불가경이라’ 하는 대목이 나온다.

주희의 권학문(勸學文)도 세월이 빠르다고 알려준다. “오늘 배우지 않고 내일이 있다고 말하지 말며 금년에 배우지 않고 내년이 있다고 말하지 말라. 세월은 흐르고 나를 위해 기다려주지 않는다. 아아, 늙으면 이 누구를 탓할 것인가?”[勿謂今日不學而有來日 勿謂今年不學而有來年 日月逝矣 歲不我延 嗚呼老矣 是誰之愆]

‘한시외전(韓詩外傳)’에는 이런 말이 있다. “증자가 말했다. ‘한번 가면 다시 오지 못하는 것은 어버이요, 왔다 해도 더 보탤 수 없는 것은 세월이로다.’”[曾子曰 往而不可還者 親也 至而不可加者 也] 이 글은 ‘그러니 부모에게 효도하라’는 취지이지만 효도든 공부든 세월은 언제나 짧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목후주ㅣ枯木朽株]  (0) 2024.03.27
[임연선어ㅣ臨淵羨魚]  (0) 2024.03.25
[등고자비ㅣ登高自卑]  (3) 2024.03.19
[호모부가ㅣ毫毛斧柯]  (2) 2024.03.17
[명경지수ㅣ明鏡止水]  (2) 2024.03.13
 
 
 
○ 높이 오르려면 낮은 곳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 登(오를 등) 高(높을 고) 自(스스로 자) 卑(낮을 비) 
 
「높은 곳에 올라가려면 낮은 곳에서부터 오른다.」는 말로, 일을 하는데는 반드시 차례(次例)를 밟아야 한다는 말. 천리(千里) 길도 한 걸음부터. 지위(地位)가 높아질수록 스스로를 낮춘다는 말. 
 
《중용(中庸)》제15장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글이 있다. 군자의 도는 비유컨대 먼 곳을 감에는 반드시 가까운 곳에서 출발함과 같고, 높은 곳에 오름에는 반드시 낮은 곳에서 출발함과 같다. 《시경》에 '처자의 어울림이 거문고를 타듯하고, 형제는 뜻이 맞아 화합하며 즐거웁고나. 너의 집안 화목케 하며, 너의 처자 즐거우리라'는 글이 있다. 공자는 이 시를 읽고서 "부모는 참 안락하시겠다"고 하였다(君子之道 辟如行遠必自邇 辟如登高必自卑 詩曰 妻子好合 如鼓瑟琴 兄弟旣翕 和樂且眈 宣爾室家 樂爾妻帑 子曰 父母其順矣乎).' 공자가 그 집 부모는 참 안락하시겠다고 한 것은 가족간의 화목이 이루어져 집안의 근본이 되었기 때문이니, 바로 행원자이(行遠自邇)나 등고자비의 뜻에 맞는다는 말이다. 
 
등고자비란 이와 같이 모든 일은 순서에 맞게 기본이 되는 것부터 이루어 나가야 한다는 뜻이다. 천리길도 한 걸음부터라는 우리 속담과 뜻이 통한다고 하겠다. 
 
《맹자(孟子)》 진심편(盡心篇)에서도 군자는 아래서부터 수양을 쌓아야 한다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바닷물을 관찰하는 데는 방법이 있다. 반드시 그 움직이는 물결을 보아야 한다. 마치 해와 달을 관찰할 때 그 밝은 빛을 보아야 하는 것과 같다. 해와 달은 그 밝은 빛을 받아들일 수 있는 조그만 틈만 있어도 반드시 비추어 준다. 흐르는 물은 그 성질이 낮은 웅덩이를 먼저 채워 놓지 않고서는 앞으로 흘러가지 않는다. 군자도 이와 같이 도에 뜻을 둘 때 아래서부터 수양을 쌓지 않고서는 높은 성인의 경지에 도달할 수 없다(流水之爲物也 不盈科不行 君子志於道也 不成章不達).' 
 
또 불경에 보면, 어떤 사람이 남의 삼층 정자를 보고 샘이 나서 목수를 불러 정자를 짓게 하는데, 일층과 이층은 짓지 말고 아름다운 삼층만 지으라고 했다는 일화가 있다. 좋은 업은 쌓으려 하지 않고 허황된 결과만 바란다는 이야기다. 학문이나 진리의 높은 경지를 아무리 이해한다 한들 자기가 아래서부터 시작하지 않고서는 그 경지의 참맛을 알 수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연선어ㅣ臨淵羨魚]  (0) 2024.03.25
[세불아연ㅣ歲不我延]  (4) 2024.03.23
[호모부가ㅣ毫毛斧柯]  (2) 2024.03.17
[명경지수ㅣ明鏡止水]  (2) 2024.03.13
[비익연리ㅣ比翼連理]  (0) 2024.03.11



○ 화근은 처음부터 잘라야 한다
○ 毫(터럭 호) 毛(터럭 모) 斧(도끼 부) 柯(가지 가)

수목(樹木)을 어릴 때 베지 않으면 마침내 도끼를 사용(使用)하는 노력(努力)이 필요(必要)하게 된다는 뜻으로,화(禍)는 미세(微細)할 때에 예방(豫防)해야 함을 비유(比喩ㆍ譬喩)하는 말로 쓰임. ‘호미로 막을 걸 가래로도 막지 못한다’는 속담이 있다. 사람에게도 해당된다. 나쁜 버릇은 어릴 때 고쳐야 한다는 ‘세 살 버릇 여든 까지 간다’이다. 범죄를 소탕할 때 자주 등장하는 拔本塞源(발본색원)이나 잡초를 벨 때 뿌리까지 없애라는 斬草除根(참초제근)도 화근은 크기 전에 없애야 함을 가르친다.

중국 周(주)나라부터 秦(진)의 통일에 이르기까지 전략가들의 변론과 책모를 엮은 ‘戰國策(전국책)’에 이 비유가 사용됐다. 이 책은 前漢(전한)의 학자 劉向(유향)의 저작으로, 공자의 春秋(춘추)가 춘추시대란 말을 낳은 것과 같이 전국시대란 말을 처음 비롯되게 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 책 魏策(위책)에는 合從連衡(합종연횡, 衡은 저울대 형, 또는 가로 횡)으로 유명한 종횡가 蘇秦(소진)이 魏(위)나라 襄王(양왕)을 찾아가 유세하는 가운데 인용한 말이다. 위나라의 국력이 결코 작지 않은데 당시의 강국 秦(진)과 연합하면 속국밖에 되지 않는다고 강조한다. 진에 대항하려면 주변 6국이 힘을 합치는 合從策(합종책)을 써야 한다며 위왕을 설득한다. ‘처음 싹을 자르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터럭같이 작을 때 치지 않으면 결국 도끼를 써야 합니다(綿綿不絕 縵縵奈何 毫毛不拔 將成斧柯/ 면면부절 만만내하 호모불발 장성부가).’. 縵은 비단, 에워쌀 만. 소진의 변설에 위왕은 합종책을 쓰기로 하고 재상을 맡겼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불아연ㅣ歲不我延]  (4) 2024.03.23
[등고자비ㅣ登高自卑]  (3) 2024.03.19
[명경지수ㅣ明鏡止水]  (2) 2024.03.13
[비익연리ㅣ比翼連理]  (0) 2024.03.11
[육참골단ㅣ肉斬骨斷]  (0) 2024.03.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