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러 맹인이 코끼리를 만지다, 식견이 좁다.
○ 群(무리 군) 盲(소경 맹) 撫(어루만질 무) 象(코끼리 상)

여러 맹인(盲人)이 코끼리를 더듬는다는 뜻으로,즉 자기(自己)의 좁은 소견(所見)과 주관(主觀)으로 사물(事物)을 그릇 판단(判斷)함. 범인(凡人)은 모든 사물을 자기 주관대로 판단하거나 그 일부밖에 파악하지 못함을 비유한 말이다.

보통 사람들의 좁은 식견을 비웃는 말은 우물 속 개구리 井底之蛙(정저지와)나 대롱으로 하늘을 본다는 管中窺天(관중규천) 등 숱하다. 표주박으로 바닷물을 재는 管窺蠡測(관규려측). 여러 맹인(群盲)이 모여 큰 코끼리를 어루만져보게 한다(撫象)는 이 성어도 모든 사물을 자기 주관대로 그릇 판단하거나 일부밖에 이해하지 못한다는 비유로 자주 쓰인다.

불교 경전 ‘涅槃經(열반경, 涅은 열반 녈, 槃은 쟁반 반)’의 獅子吼菩薩品(사자후보살품)에 수록되어 있다는 이야기다. 옛날 인도의 어떤 왕이 신하들에게 진리를 말하다가 대신에게 코끼리를 한 마리 몰고 오도록 했다. 그러고는 맹인 여러 명을 불러 코끼리를 만져보게 하고 어떻게 생겼는지 말해보라고 했다. 장님들의 대답은 각양각색이었고 서로 자기가 만져본 것이 맞다고 주장했다. 상아를 만진 사람은 무와 같다고 했고, 귀를 만진 이는 키(箕)처럼 생겼다고 했다. 머리를 만진 사람은 돌, 코를 만진 사람은 절굿공이, 등을 만진 이는 평상같이 생겼다고 했다. 또 배를 만졌던 장님은 장독, 꼬리를 만진 이는 새끼줄처럼 생겼다고 대답했다.

맹인들을 물러가게 한 뒤 신하들에게 말했다. ‘코끼리는 하나인데 저 장님들은 제각기 자기가 알고 있는 것만이 옳다고 여기고 조금도 부끄러워하지 않는구나. 진리를 아는 것 또한 이러하다.’ ‘群盲評象(군맹평상)’, ‘群盲象評(군맹상평)’이라고도 한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리장침ㅣ綿裏藏針]  (4) 2024.01.13
[신공귀부ㅣ神工鬼斧]  (2) 2024.01.12
[견여금석ㅣ堅如金石]  (0) 2024.01.05
[동류합오ㅣ同流合汚]  (2) 2024.01.04
[동량지재ㅣ棟樑之材]  (0) 2024.01.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