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 (維) - 이어져 내려온다는 뜻

세차 (歲次) - 해의 차례라는 뜻

간지 (干支) - 간지는 천간지지의 육십갑자의 그 해의 태세를 쓴 것이며 그 예로 금년이 정묘년이면 정묘라고 씁니다.

모월 (某月) - 제사달을 씁니다.예를 들어 1월이면 正月, 8월이면 八月이라고 씁니다.

간지삭 (干支朔) - 그해 제사달의 초하루라는 뜻, 제사달의 초하루 간지를 씁니다. 예를 들어 초하루 의 간지가 정해(丁亥)이면 丁亥라고 씁니다.

모일 (某日) - 제사일을 씁니다.예를 들어 제삿날이 15일이면 十五日이라고 씁니다.

간지 (干支) - 그해 제삿날의 간지를 씁니다. 예를 들어 제사일이15일이면 15일의 간지가 갑자(甲子)이면 甲子라고 씁니다

감소고우 (敢昭告于) - 삼가 밝게 고한다는 뜻으로 처상(妻喪)에는 감(敢)자를 버리고 소고우라고만 쓰며 아우이하는 고우(告于)라고만 씁니다.

 

※ 축문은 딱히 정해지지 않았지만 24㎝ × 36㎝의 크기로 하시면 됩니다.

축문은 우측에서 세로로 읽어 좌측으로 나가시면 됩니다.

 

 

 

 

 

 

고조부모 – 고조할아버지, 고조할머니 (高祖父母)

 

維유

世세次차 干간支지 某모月월 干간支지朔삭 某모日일 干간支지 玄현孫손 ○○ 敢감昭소告고于우

顯현高고祖조考고學학生생府부君군

顯현高고祖조妣비孺유人인淸청州주韓한氏씨 歲세序서遷천易역 顯현高고祖조考고 諱휘日일

復부臨임追추遠원感감時시 不불勝승永영慕모 謹근以이淸청酌작 庶서羞수恭공伸신奠전獻헌 尙상

饗향

참고사항

○○ - 제사 지내는 사람의 이름을 쓴다.

축문은 고조부의 축문이며 고조모의 경우에는 세서천역 다음에 오는 현고조고를 현고조비로 고쳐쓴다. 벼슬을 하였다면 학생을 빼고 관직명을 쓴다. 부인도 관직에 맞게 유인이 아니라 숙부인이런식으로 고쳐쓴다.현고조비유인 다음 본관성씨를 쓴다.청주한씨로 되어있는 것을 맞게 고쳐쓴다.

 

 

증조부모 – 증조할아버지, 증조할머니 (曾祖父母)

 

維유

世세次차 干간支지 某모月월 干간支지朔삭 某모日일 干간支지 曾증孫손 ○○ 敢감昭소告고于우

顯현曾증祖조考고學학生생府부君군

顯현曾증祖조妣비孺유人인全전州주李이氏씨 歲세序서遷천易역 顯현曾증祖조考고 諱휘日일復부臨임

追추遠원感감時시 不불勝승永영慕모 謹근以이淸청酌작 庶서羞수恭공伸신奠전獻헌 尙상

饗향

참고사항

○○ - 제사 지내는 사람의 이름을 쓴다.

축문은 증조부의 축문이며 증조모의 경우에는 세서천역 다음에 오는 현증조고를 현증조비로 고쳐쓴다. 벼슬을 하였다면 학생을 빼고 관직명을 쓴다. 부인도 관직에 맞게 유인이 아니라 숙부인이런식으로 고쳐쓴다.현증조비유인 다음 본관성씨를 쓴다.전주이씨로 되어있는 것을 맞게 고쳐쓴다.

 

 

조부모 – 할아버지, 할머니 (祖父母)

維유

世세次차 干간支지 某모月월 干간支지朔삭 某모日일 干간支지 孝효孫손 ○○ 敢감昭소告고于우

顯현祖조考고學학生생府부君군

顯현祖조妣비孺유人인金김海해金김氏씨 歲세序서遷천易역 顯현祖조考고 諱휘日일復부臨임

追추遠원感감時시 不불勝승永영慕모 謹근以이淸청酌작 庶서羞수恭공伸신奠전獻헌 尙상

饗향

참고사항

○○ - 제사 지내는 사람의 이름을 쓴다.조부모가 다 돌아가셨을 때 조부의 제사 축문이며 한사람만 돌아가셨을때는 할아버지께서 돌아가셨고 할머니는 생존해 계시다면 현조비유인김해김씨를 빼면 되고 할머니만 돌아가셨다면 현조고학생부군을 빼면되며 조모의 제사일이 경우 세서천역 다음에 오는 현조고를 현조비로 바꾸어 쓴다.

벼슬을 하였다면 학생을 빼고 관직명을 쓴다. 부인도 관직에 맞게 유인이 아니라 숙부인이런식으로 고쳐쓴다.현조비유인 다음 본관성씨를 쓴다.김해김씨로 되어있는 것을 맞게 고쳐쓴다.

 

부모 – 아버지, 어머니 (父母)

維유

世세次차 干간支지 某모月월 干간支지朔삭 某모日일 干간支지 孝효子자 ○○ 敢감昭소告고于우

顯현考고學학生생府부君군

顯현妣비孺유人인南남陽양洪홍氏씨 歲세序서遷천易역 顯현考고 諱휘日일復부臨임追추遠원

感감時시 昊호天천罔망極극 謹근以이淸청酌작 庶서羞수恭공伸신奠전獻헌 尙상

饗향

참고사항

○○ - 제사 지내는 사람의 이름을 쓴다.부모가 다 돌아가셨을 때 조의 제사 축문이며 한사람만 돌아가셨을때는 아버지께서 돌아가셨고 어머니는 생존해 계시다면 현비유인남양홍씨를 빼면 되고 어머니만 돌아가셨다면 현고학생부군을 빼면되며 어머니의 제사일이 경우 세서천역 다음에 오는 현고를 현비로 바꾸어 쓴다.

벼슬을 하였다면 학생을 빼고 관직명을 쓴다. 부인도 관직에 맞게 유인이 아니라 숙부인이런식으로 고쳐쓴다.현조비유인 다음 본관성씨를 쓴다.남양홍씨로 되어있는 것을 맞게 고쳐쓴다.

 

'국가공인예절지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좌석 배치의 실제  (0) 2020.03.13
보학의 용어  (0) 2020.03.12
좌설(左設)과 우설(右設)  (0) 2020.03.04
치상 후의 인사  (0) 2020.03.04
안동지방의 불천위 제사  (0) 2020.03.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