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몹시 마음을 쓰며 애를 태우다.
○ 勞(일할 노) 心(마음 심) 焦(탈 초) 思(생각 사)

몹시 마음을 쓰며 애를 태움. '몹시 마음을 졸이거나 지나치게 생각을 깊게 하면서 애를 태운다.'는 뜻이다. 마음을 편안히 갖지 못하고 어쩔 줄 몰라 하는 모습이 눈앞에 떠오르지요. 태연자약(泰然自若)한 것과는 정반대되는 모습입니다. 노심초사하는 사람은 잠도 제대로 못 이루는 것이 당연지사(當然之事)죠. 그래서 이런 표현이 생겨났습니다.

‘史記(사기)’의 夏本紀(하본기)에는 치수사업에 성공한 禹王(우왕)의 업무에 임하는 태도를 이 성어에 비유했다. 堯舜(요순)의 치세 때 20년 동안이나 홍수가 계속돼 禹(우)의 아버지 鯀(곤)이 물길을 잡는 일을 맡았지만 실패하자 처형을 당하고 말았다. 치수를 이어받게 된 우는 아버지의 불행을 잊지 않으려 항상 마음을 다짐했다. 그 부분을 보자. ‘우는 아버지 곤이 공을 이루지 못하고 처형을 받은 것을 마음 아파하여 애를 태웠다(禹傷先人父鯀功之不成受誅 乃勞身焦思/ 우상선인부곤공지불성수주 내노신초사).’ 이어지는 부분이 밖에서 13년을 지내면서 자기 집 문 앞을 지나면서도 들어가지 못했다는 過門不入(과문불입)의 고사다.

越(월)나라 句踐(구천)이 吳(오)의 夫差(부차)에게 굴욕적인 항복을 한 뒤 곁에 쓸개를 두고 앉으나 서나 쓴맛을 보며 會稽(회계)의 치욕을 상기할 때도 이 말이 나온다. 월왕 구천은 포로로 있다가 돌아온 뒤 ‘몸을 수고롭게 하고 속을 태우면서, 자리 옆에 쓸개를 놓아두고 앉거나 누우면 쓸개를 바라보았고, 먹거나 마실 때 또한 쓸개를 맛보았다(乃苦身焦思, 置膽於坐, 坐臥卽仰膽, 飮食亦嘗膽也/ 내고신초사 치담어좌 좌와즉앙담 음식역상담야)’고 했다. 역시 ‘사기’의 월왕구천 세가에 실려 있다.

옛 사람의 시에 ‘인생은 백년을 못다 살면서, 늘 천세의 근심을 가슴에 품는다(生年不滿百 常懷千歲憂/ 생년불만백 상회천세우)’란 것이 있다. 나라를 생각하는 큰 지도자의 걱정이다. 시정인도 후세를 위한 걱정이 없을 수야 없겠지만 주변인과 사소한 일에 애를 태우거나 마음을 쓴다면 건강에 좋을 리는 없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류합오ㅣ同流合汚]  (0) 2020.04.26
이상한 행운의 숙제(카톡 수신)  (0) 2020.04.26
[병입고황ㅣ病入膏肓]  (0) 2020.04.25
발본색원ㅣ拔本塞源]  (0) 2020.04.25
VIP와 저녁을...  (0) 2020.04.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