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눈빛이 횃불같이 빛나다, 몹시 화가 나다.
○ 目(눈 목) 光(빛 광) 如(같을 여) 炬(횃불 거)
눈빛이 횃불같이 빛나다, 몹시 화가 나다, 뜻이 높고 원대하다는 뜻으로 옛날 중국 晉(진)나라의 阮籍(완적)이란 사람은 친한 사람에겐 靑眼(청안)으로, 거만한 사람은 白眼(백안)으로 대했다고 했다.
실제 성어의 주인공 檀道濟(단도제, ?~436)는 30여 차례나 전장에 나가 큰 공을 세웠음에도 시기하는 무리들에 붙잡혀 죽게 되니 그럴 만도 하다. 南北朝(남북조)시대 宋(송)을 세웠던 武帝(무제)의 북벌에 참여한 장군 단도제는 그 공으로 護軍(護軍)에 봉해졌다. 무제가 임종하면서 그의 아들 文帝(문제)가 즉위하자 더욱 중용됐다. 北魏(북위)가 쳐들어왔을 때 都督(도독)으로 참전하여 결국 남침을 저지했다. 문제는 단도제의 공을 인정하여 그의 아들까지 요직에 앉혔다. 그러고도 일부 신하들이 그를 음해하지 않을지 항상 신경을 곤두세웠다.
몇 년 뒤 문제가 중병을 앓게 되자 걱정하던 일이 실제로 일어났다. 彭城王(팽성왕)으로 있던 劉義康(유의강)이 장수 劉湛(유담)과 음모를 꾸몄다. 그들은 거짓으로 북위가 쳐들어온다며 임지에 있던 단도제를 수도 建康(건강)으로 불렀다. 문제의 병세가 조금 호전되자 작별을 고하고 돌아가려는데 유의강 일당이 모반죄로 덮어 씌었다. 단도제는 졸지에 화를 당하게 되자 몹시 화가 나 그 눈빛이 마치 횃불과 같았다(道濟見收 憤怒氣盛 目光如炬/ 도제견수 분노기성 목광여거). 그리고는 관을 팽개치며 말했다. ‘너희들이 만리장성을 무너뜨리려느냐(乃壞汝萬里長城/ 내괴여만리장성)?’ ‘南史(남사)’ 단도제전에 나오는 이야기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눌언민행ㅣ訥言敏行] (0) | 2023.08.16 |
---|---|
[대의멸친ㅣ大義滅親] (0) | 2023.08.15 |
[강랑재진ㅣ江郞才盡 ] (0) | 2023.08.13 |
[각골통한ㅣ刻骨痛恨] (0) | 2023.08.12 |
[세이공청ㅣ洗耳恭聽] (0) | 2023.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