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치를 잘하는 자는 사랑받는다
○ 甘(달 감) 棠(산앵도나무 당) 愛(사랑 애)
감당나무를 사랑한다는 것으로, 정치를 잘하는 자를 사모하는 정을 나타낸다.소공(召公)은 주대(周代) 연 나라의 시조로, 채읍(采邑)을 소(召)에 두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그는 섬서(陝西) 지역을 다스릴 때 선정(善政)을 베풀어 백성들의 사랑과 존경을 한 몸에 받았다. 그는 시골 마을 이나 도시를 순시할 때마다 감당나무(팥배나무)를 심어 놓고 그 아래에서 송사(訟事)를 판결하거나 정사를 처리 하였다.
그리고 후(候)와 백(伯) 같은 귀족에서부터 농사에 종사하는 일반백성들에 이르기까지 적절하게 일을 맡김으로써 직무나 직업을 잃은 사람이 한 사람도 없도록 했다.
감당나무는 배나무와 비슷하지만 크기 면에서는 작고, 2월에 흰 꽃이 피어 배보다 작은 열매가 열리며 서리가 내릴 때쯤 먹을 수 있다. 소공이 죽자 백성들은 소공의 정치적 공적을 사모하고 감당나무를 그리워했다. 그 이후로 백성들은 감당나무를 길렀으며, "감당(甘棠)이라는 제목의 시를 지어서 그의 공덕을 노래했다.
"국풍(國風)" '감당(甘棠)'시는 이렇다.
싱싱한 팥배나무를 자르지도 베지도 마라 소백님이 멈추신 곳이니 소백님이 쉬신 곳이니 싱싱한 팥배나무를 자르지도 휘지도 말라 소백님이 머무신 곳이니 이 시의 내용은 소공이 백성들을 위하여 일하다 감당나무 아래에서 쉬었으므로, 그 나무를 건드리지 말라는 것이다. 이것은 백성들의 소공에 대한 애정과 존경심이 어떠했는지 짐작할 수 있게 한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탐득무염ㅣ貪得無饜] (0) | 2023.08.03 |
---|---|
[이사난열ㅣ易事難說] (0) | 2023.08.02 |
[학철부어ㅣ涸轍鮒魚] (0) | 2023.07.31 |
[도원결의ㅣ桃園結義] (0) | 2023.07.30 |
[계륵ㅣ鷄肋] (0) | 2023.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