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눈동자가 맑고 이가 희다
○ 明(밝을 명) 眸(눈동자 모) 皓(힐 호) 齒(이빨 치)
눈동자가 맑고 이가 희다. '미인'을 형용하는 말.
안록산(安祿山)이 난리를 일으켜 낙양(陽)이 함락된 것이 755년, 두보의 나이 44세 때의 일이다. 그 해에 두보는 처음으로 벼슬길에 올랐다. 그것을 처자에게 통고하기 위하여, 당시 소개(疏開)되어 있는 長安 근처의 봉선(奉先)으로 갔다. 도적들의 수중에 있는 長安에서 봄을 맞이한 杜甫는 남몰래 江頭를 찾아가, 옛날의 영화를 그리워하고 이 江頭를 슬퍼하며, 목소리를 삼키고 울면서 이 <哀江頭>란 시를 지었던 것이다.
밝은 눈동자 흰 이는 지금 어디 있는가?피로 더러워진 떠도는 혼은 돌아가지를 못하네.맑은 위수는 동쪽으로 흐르고 검각은 깊은데,蜀나라로 끌려가 사니 피차간 소식이 없네. 인생은 情이 있어 눈물이 가슴을 적시니, 강물에는 강 꽃이 피니 어찌 마침내 다함이 있으랴. 황혼에 오랑캐 기마들은 티끌로 城을 채우는데, 城 남쪽으로 가고자 하여 城 북쪽을 바라보네.
明眸皓齒今何在 血汗遊魂歸不得 淸渭東流劍閣深 去住彼此無消息 人生有情沾臆 江水江花豈終極 黃昏胡騎塵滿城 浴往城南望城北 여기에서 '明眸皓齒'라고 한 것은 楊貴妃의 모습을 형용한 것이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궁구막추ㅣ窮寇莫追] (0) | 2022.07.29 |
---|---|
[앙급지어ㅣ殃及池魚] (0) | 2022.07.28 |
[외유내강ㅣ外柔內剛] (0) | 2022.07.25 |
[현량자고ㅣ懸梁刺股] (0) | 2022.07.23 |
[적국파모신망ㅣ敵國破謀臣亡] (0) | 2022.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