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리석은 사람이 산을 옮기다
○ 愚(어리석을 우) 公(공평할 공) 移(옮길 이) 山(메 산) 
 
우공이 산을 옮긴다는 말로,남이 보기엔 어리석은 일처럼 보이지만 한 가지 일을 끝까지 밀고 나가면 언젠가는 목적(目的)을 달성(達成)할 수 있다는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愚公)이 산을 옮긴다(移山)는 이 성어로 어떤 일이든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루어진다는 뜻을 가져 많은 젊은이들의 좌우명으로 애용된다. 
 
중국 戰國時代(전국시대)때 道家(도가)의 전설적 사상가 列子(열자)의 사상과 철학을 문인들이 모은 ‘列子(열자)’의 湯問篇(탕문편)에 실린 우화에서 유래했다. 옛날 우공이라는 90세 되는 노인이 살고 있었다. 그런데 마을 앞뒤로 太形山(태형산)과 王屋山(왕옥산)이라는 큰 산이 가로막아 나들이에 여간 큰 장애가 아니었다.  
 
우공이 가족들을 모아놓고 이 두 산을 옮겨야겠다고 말했더니 모두 찬성하는데 부인만 늙은 사람이 흙을 버릴 곳도 없고 안 된다며 반대했다. 세 아들과 손자, 그리고 이웃 과부 京城氏(경성씨)의 꼬마들까지 도와 길을 깎는 공사에 들어갔다. 渤海(발해)까지 흙을 갖다버리고 오는데 일 년이 걸렸다. 아래 마을 지혜롭다는 智叟(지수)라는 사람이 죽을 날이 얼마 안 남은 노인이 어리석은 일을 한다고 비웃자 우공이 대답했다. ‘내가 죽으면 아들이 하고, 아들 죽으면 손자가 하고 이렇게 자자손손 계속하면 언젠가는 저 두 산이 평평해지겠지.’ 이 말을 듣고 두 산을 지키는 操蛇神(조사신)이 깜짝 놀라 천제에게 호소, 두 산을 딴 곳으로 옮겨놓게 했다. 결국 우공의 어리석음을 비웃기만 해서는 지혜로운 지수라도 일을 결코 성취하지 못한다는 가르침을 준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석고황ㅣ泉石膏肓]  (0) 2021.02.22
[양패구상ㅣ兩敗俱傷]  (0) 2021.02.22
[백운고비ㅣ白雲孤飛]  (0) 2021.02.21
[사양지심ㅣ辭讓之心]  (0) 2021.02.20
[군자지덕풍ㅣ君子之德風]  (0) 2021.02.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