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사고락을 함께 한다는 것을 이르는 말
○ 君(임금 군) 辱(욕될 욕) 臣(신하 신) 死(죽을 사) 
 
임금이 치욕(恥辱)을 당(當)하면 신하(臣下)가 죽는다는 뜻으로,임금과 신하(臣下)는 생사고락(生死苦樂)을 함께 한다는 것을 이르는 말 
 
주욕신사(主辱臣死)라고도 한다. 군주가 치욕을 당했을 경우 신하는 목숨을 버리고 그 치욕을 씻어야 한다는 것으로, 신하는 군주와 생사고락을 함께해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 8국의 역사를 기록한 국어(國語)의 월어(越語)에 나오는 다음 이야기에서 유래한 성어(成語)이다. 
 
춘추시대 월(越)나라의 왕 구천(勾踐:재위 BC 496∼BC 465)은 후이지산[會稽山] 싸움에서 오(吳)나라의 왕 부차(夫差:재위 BC 496∼BC 473)에게 패하였다가, 20여 년 뒤 충신 범려의 힘으로 오나라를 멸망시켰다. 범려는 월나라가 패하였을 때 왕의 치욕을 씻으려고 죽지 않았으나, 오나라를 멸한 뒤 후이지산에서 패하였을 때의 벌을 받아 물러나기를 바라면서 왕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신하인 사람은 임금이 근심하면 해결하기 위해 힘쓰고 임금이 치욕을 당하면 목숨을 버리고 치욕을 씻어야 합니다[爲人臣者 君憂臣勞 君辱臣死]." 임금과 신하는 고생을 같이한다는 뜻이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위이화ㅣ無爲而化]  (0) 2020.11.26
[묵자비염ㅣ墨子悲染]  (0) 2020.11.25
[학택지사ㅣ涸澤之蛇]  (0) 2020.11.22
[사공명주생중달ㅣ死孔明走生仲達]  (0) 2020.11.19
[고곡주랑ㅣ顧曲周郞]  (0) 2020.11.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