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 맛이 좋은 우물은 빨리 마른다
○ 甘(달 감) 井(우물 정) 先(먼저 선) 竭(다할 갈)
물맛이 달고 좋은 우물의 물은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기 때문에 빨리 마르게 된다는 이치이다. 이말은 비유하여 재주가 출중한 사람은 혹사되어 빨리 쇠잔해질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모난 돌이 정 맞는다'는 속담이 있다. 무리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사람은 남에게 미움을 받게 된다는 말이다. 모두 쪼아대 우뚝한 모서리가 없어지고 평평하게 평준화된다. 물맛이 달콤한 우물(甘井)의 물이 빨리 마른다(先竭)는 말도 마찬가지다. 모두 퍼 마시므로 빨리 바닥을 드러낸다. '莊子(장자)'에 이 성어가 실렸다. 大公任(태공임, 大자가 태, 다의 음도 있음)이란 사람이 孔子(공자)에게 태도를 어떻게 해야 한다는 조언이 들어있어 실제라기보다 우화로 본다.
공자가 陳(진)과 蔡(채)나라 다툼 사이에서 꼼짝 못하고 갇혀 이레간 식사도 옳게 못했을 때 태공임이 찾아와 이야기한다. 동해에 意怠(의태)라는 새가 있는데 본성이 느려 능력이 없는 듯 보이지만, 날 때는 다른 새를 이끌고 앞서지 않으며 먹이를 먼저 맛보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므로 무리에서 배척당하지 않고 사람들도 해치지 않는다며 '곧은 나무가 먼저 베어지고 맛있는 샘물은 먼저 마른다(直木先伐 甘井先竭/ 직목선벌 감정선갈)'고 했다.
곧 공자에게 지혜를 자랑하여 어리석은 사람들을 놀라게 하고, 몸을 닦아 그로써 남의 잘못을 드러내며, 마치 해와 달을 들고 다니듯 세상에 알려졌으니 화를 면치 못한다고 충고했다. 너무 잘난 체 한다고 공자에게 일침을 놓은 것이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벽유죄ㅣ懷璧有罪] (2) | 2023.12.06 |
---|---|
[소중유도ㅣ笑中有刀] (4) | 2023.12.05 |
[혈류표저ㅣ血流漂杵] (2) | 2023.11.30 |
[중원축록ㅣ中原逐鹿] (5) | 2023.11.28 |
견여금석ㅣ堅如金石] (0) | 2023.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