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자를 품에 안고도 흐트러지지 않음
○ 坐(앉을 좌) 懷(품을 회) 不(아닐 불) 亂(어지러울 란)
春秋時代(춘추시대, 기원전 770년~403년)에 여자를 품에 안고서(坐懷) 하루 밤을 지내도록 흐트러지지 않았다(不亂)는 柳下惠(유하혜) 얘기다.
그는 魯(노)나라의 대부로 있으면서 덕행이 있고 예에 어긋나지 않게 국정을 이끌어 孔子(공자)로부터 칭송을 받았다. 孟子(맹자)도 유하혜를 조화로운 성인 和聖(화성)으로 부르며 伊尹(이윤), 伯夷(백이), 공자와 함께 4대 성인으로 추앙했다고 할 정도다.
남녀가 함께 지내도 바르지 못한 행위는 없었다는 이런 스토리는 ‘荀子(순자)’ 大略(대략)편에 간단히 나온 것이 처음이다. 후대에 살을 붙여 前漢(전한) 毛亨(모형)의 주석에서 淸(청)나라 소설가 李汝珍(이여진)의 대표작 鏡花緣(경화연)에 이르기까지 수다히 인용됐다. 여기선 元(원)나라 胡炳文(호병문)의 ‘純正蒙求(순정몽구)’의 내용을 보자. ‘유하혜가 어느 때 먼 길을 다녀오느라 늦어서 성문 밖에서 유숙하게 되었다. 몹시 추운 날이었다.
갑자기 한 여자가 와서 잘 곳이 없으니 같이 자게 해달라고 했다. 유하혜는 얼어 죽을 것 같은 그 여인을 품에 안고 옷으로 덮어주었다. 새벽에 이르기까지 난잡하지 않았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로동혈ㅣ偕老同穴] (0) | 2023.03.10 |
---|---|
[필협상벌ㅣ畢協賞罰] (0) | 2023.03.07 |
[절차탁마ㅣ切磋琢磨] (0) | 2023.03.04 |
[화기소장ㅣ禍起蕭墻] (2) | 2023.03.03 |
[순망치한ㅣ脣亡齒寒] (0) | 2023.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