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장난명ㅣ孤掌難鳴]

○ 혼자서 할 수 없고 협력해야 일이 이루어짐
○ 孤(외로울 고) 掌(손바닥 장) 難(어려울 난) 鳴(울 명)

외손뼉은 울릴 수 없다는 뜻으로, ①혼자서는 어떤 일을 이룰 수 없다는 말 ②상대(相對) 없이는 싸움이 일어나지 않음을 이르는 말. 獨掌不鳴(독장불명)이나 외가닥 실은 선을 이루지 못한다는 單絲不成線(단사불성선)도 아무 쓸모가 없다는 의미다.

외손뼉, 즉 한 손으로는 소리가 나지 않는다는 말이다. 손뼉이 울리기 위해서는 두 손바닥이 마주쳐야만 한다는 뜻이다. 혼자서는 일을 이룰 수 없음을 비유하거나, 맞서는 사람이 없으면 싸움이 되지 않음을 비유할 때 쓴다.

어떤 일을 할 때 의견이 서로 맞지 않아 일이 성사되지 않을 경우, "손바닥도 마주쳐야 소리가 나지"라고 하는데, 고장난명을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긍정적인 결과보다는 부정적인 결과가 생겼을 때, 주로 비방하는 투로 많이 쓴다. 독장난명(獨掌難鳴)과도 같다.

똑 같은 말은 아니지만 비슷한 뜻으로 쓰인 예를 ‘韓非子(한비자)’에서 찾는다. 중국 法家(법가)의 확립자 韓非(한비)가 쓴 이 책의 功名(공명)편에 나온다. 글자대로 공적과 명성이란 뜻의 이편에서 군주가 대업을 이루기 위해서는 천시와 인심, 다스리는 기능도 중요하지만 권세와 지위가 우뚝해야 백성이 따른다고 했다. 어리석은 군주라도 현명하고 능력 있는 신하를 다스릴 수 있는 것은 권세와 지위가 있기 때문이다. 부분을 인용해 보자.

명성과 실제가 서로 의존하며 이루어지고 형체와 그림자가 서로 호응하듯 존립하듯이(名實相持而成 形影相應而立/ 명실상지이성 형영상응이립) 신하와 군주는 기대하는 것은 같으나 직분은 달리 하는 사이다. 군주의 걱정은 신하가 호응하지 않을 것을 걱정하니 ‘한 손으로 박수를 쳐서는 제아무리 빠르게 칠지라도 소리가 나지 않는다(一手獨拍 雖疾無聲/ 일수독박 수질무성)’고 했다. 그러면서 잘 다스려지는 나라에서는, 군주는 북채와 같고 신하는 북과 같으며, 신하의 재능은 마차와 같고 그의 임무는 마차를 끄는 말과 같다고 덧붙인다. 각각의 직분을 다하면서 서로 협조해야 나라가 편안해진다는 뜻이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중사영ㅣ杯中蛇影]  (0) 2022.11.22
[태산불사토양ㅣ泰山不辭土壤]  (1) 2022.11.20
[교취호탈ㅣ巧取豪奪]  (0) 2022.11.18
[집중무권ㅣ執中無權]  (0) 2022.11.17
[망운지정ㅣ望雲之情]  (0) 2022.11.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