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길가의 쓰디 쓴 자두라는 말
○ 道(길 도) 傍(곁 방) 苦(쓸 고) 李(오얏 리)
길가의 쓰디 쓴 자두라는 말, 아무도 따는 사람이 없이 버림 받음.
진(晉)나라의 왕융(王戎)이 일곱 살 때의 일이다. 그는 다른 아이들과 함께 놀고 있었다. 그때 길가의 오얏나무에 가지가 휘어지게 많은 열매가 맺혀 있는 것을 보았다. 아이들은 그것을 따려고 앞을 다투어 달려갔다. 그런데 왕융 혼자만은 움직이려 들지 않았다. 그래서 지나가는 사람이 물었다.
"왜 너는 따러 가지 않느냐?" "길가에 있는데, 저렇게 열매가 많이 매달려 있는 것은 틀림없이 써서 먹지 못할 자두임이 분명합니다." 아이들이 따보니 과연 왕융이 말한 대로 먹을 수 없는 자두였다.
왕융(234~305년)은 진(晉)의 정치가.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으로 노장 사상을 선호하고 유유자적 하며 정치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망양지탄ㅣ望洋之歎] (0) | 2021.10.03 |
---|---|
[구화지문ㅣ口禍之門] (0) | 2021.09.26 |
[사위별칭ㅣ死謂別稱] (0) | 2021.09.17 |
[월관지화ㅣ越官之禍] (0) | 2021.09.16 |
[전전긍긍ㅣ戰戰兢兢] (0) | 2021.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