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무파ㅣ古井無波]
[고정무파ㅣ古井無波]
○ 오래 된 우물에는 물결이 일지 않는다
○ 古(옛 고) 井(우물 정) 無(없을 무) 波(물결 파)
오래 된 우물에는 물결이 일지 않는다는 뜻으로,마음을 굳게 가져 정절(貞節)을 지키는 여자(女子)를 비유(比喩ㆍ譬喩)하는 말
고정불파(古井不波)라고도 한다. 오래 된 우물 속에는 물이 말라 물결이 일지 않는다는 표현으로, 수절(守節)하는 여인을 비유한다. '마음이 옛 우물과 같이 고요하다'라는 뜻인 '심여고정(心如古井)'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심여고정은 당나라 때의 시인 맹교(孟郊)가 지은 열녀조(列女操)라는 시 가운데 "출렁이는 물결 결코 일으키지 않으니, 여인의 마음 우물 속 고요한 물과 같구나(波瀾誓不起, 妾心井中水)"라는 시구에서 비롯되었다. 고정무파와 상반된 말로서, '옛 우물(또는 마른 우물)에 물결이 인다'는 뜻의 고정중파(古井重波) 또는 고정생파(枯井生波)라는 성어는 일어날 가능성이 별로 없는 일을 비유하는 데 사용된다.
○ 오래 된 우물에는 물결이 일지 않는다
○ 古(옛 고) 井(우물 정) 無(없을 무) 波(물결 파)
오래 된 우물에는 물결이 일지 않는다는 뜻으로,마음을 굳게 가져 정절(貞節)을 지키는 여자(女子)를 비유(比喩ㆍ譬喩)하는 말
고정불파(古井不波)라고도 한다. 오래 된 우물 속에는 물이 말라 물결이 일지 않는다는 표현으로, 수절(守節)하는 여인을 비유한다. '마음이 옛 우물과 같이 고요하다'라는 뜻인 '심여고정(心如古井)'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심여고정은 당나라 때의 시인 맹교(孟郊)가 지은 열녀조(列女操)라는 시 가운데 "출렁이는 물결 결코 일으키지 않으니, 여인의 마음 우물 속 고요한 물과 같구나(波瀾誓不起, 妾心井中水)"라는 시구에서 비롯되었다. 고정무파와 상반된 말로서, '옛 우물(또는 마른 우물)에 물결이 인다'는 뜻의 고정중파(古井重波) 또는 고정생파(枯井生波)라는 성어는 일어날 가능성이 별로 없는 일을 비유하는 데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