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손순매아ㅣ孫順埋兒]
효의정(손승호)
2023. 2. 27. 18:43
○ 손순이 아이를 묻다.
○ 孫(손자 손) 順(순할 순) 埋(묻을 매) 兒(아이 아)
孫順(손순)은 우리나라의 효자다. 손순은 통일신라 제42대 興德王(흥덕왕) 때 사람이다.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아내와 함께 남의 집 품팔이를 하며 늙은 어머니를 정성스레 봉양했다.
부부에겐 어린 아이가 있었는데 끼니때마다 할머니의 음식을 빼앗아먹어 골치였다. 손순이 부인에게 말했다. '아이는 다시 얻을 수 있으나 어머니는 다시 구할 수 없소. 아이가 어머니 음식을 빼앗아 먹기 때문에 굶주림이 너무 심하오. 그러니 아이를 땅 속에 묻어 어머니를 배부르게 해야겠소(兒可得 母難再求 而奪其食 母飢何甚 且埋此兒以圖母腹之盈/ 아가득 모난재구 이탈기식 모기하심 차매차아이도모복지영).' 아이를 업고 동네 뒷산에 가서 땅을 파는 도중에 무엇이 걸려 파 보았더니 돌로 된 종이 나왔다.
아이의 복이라 여겨 묻지 않고, 석종을 지고 내려와 집 대들보에 매달고 쳐 보니 대궐에까지 소리가 퍼져 나갔다. 흥덕왕이 사연을 듣고 옛날 중국의 郭巨(곽거)라는 효자가 아들을 묻으려 할 때 하늘에서 금솥(金釜)을 내렸다더니 이것은 전세의 효와 후세의 효를 천지가 함께 본 것이라며 칭찬했다. 그리고선 집 한 채와 매년 벼 50섬을 내리고 효성을 기렸다. 손순은 옛집을 희사하여 弘孝寺(홍효사)로 하고 석종도 잘 간직했다. 一然(일연)이 쓴 '三國遺事(삼국유사)' 권5의 孝善(효선)편에 나오는 이야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