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권불십년ㅣ權不十年]

효의정(손승호) 2021. 2. 26. 00:09


 
○ 권세는 십 년을 가지 못하다.
○ 權(권세 권) 不(아닐 불) 十(열 십) 年(해 년) 
 
권세(權勢)는 10년을 넘지 못한다는 뜻으로, ①권력(權力)은 오래가지 못하고 늘 변(變)함 ②또는 영화(榮華)는 일시적(一時的)이어서 계속(繼續)되지 않음 
 
아무리 높은 권세라도, 행복도 오래가지 못한다는 사실은 모두 안다. '십 년 세도 없고 열흘 붉은 꽃 없다'는 속담과 똑같이 '사람의 좋은 일과 붉은 꽃의 아름다움은 열흘을 넘지 못한다(人無十日好 花無十日紅/ 인무십일호 화무십일홍)'며 자주 쓰이는 對句(대구)도 있다.  
 
그런데도 자신만은 예외라 여기며 비켜나지 않다가 추한 모습을 보이고 사라지는 사람이 숱하게 있으니 경계하는 말이 많이 나왔겠다. 樂極生悲(낙극생비), 物極必反(물극필반), 盈則必虧(영즉필휴, 虧는 이지러질 휴), 興盡悲來(흥진비래) 등이다. 여기 권세는 십 년을 넘기지 못한다는 이 성어도 달이 차면 기운다는 月滿則虧(월만즉휴)의 뒤에 따라 붙는다.  
 
권세가 10년을 넘지 못한다는 이야기를 할 때 먼저 예로 드는 것이 중국 戰國時代(전국시대, 기원전 403년~221년)를 통일한 秦始皇(진시황)이다. 대상인 呂不韋(여불위)의 계략으로 13세에 왕위에 올랐으나 8년 뒤 친정할 때부터 李斯(이사)의 법가 사상을 기반으로 강력한 부국강병책을 추진했다.  
 
기원전 221년 七雄(칠웅)을 멸망시켜 봉건제를 폐지하고 도량형 통일, 만리장성 축조 등 왕조의 기틀을 잡았다 그러나 이어진 아방궁 등 대규모 토목공사와 실용서를 제외한 서적을 불태우고 비판하는 학자를 생매장한 焚書坑儒(분서갱유)를 자행해 최대의 폭군으로 남았다. 처음 황제를 칭하면서 始皇帝(시황제)에 이어 자자손손 이어지기를 바랐지만 우둔한 아들 胡亥(호해)가 2세 황제로 즉위하고 3년 만에 망하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