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의적 표현이란?
중의적 표현이란 하나의 단어나 문장이 두 개 이상 여러 가지 의미로 해석되는 표현을 말한다.
중의적 표현의 종류
1. 어휘의 중의성~ 한 단어의 의미가 두 가지 이상으로 해석되는 것으로 동음이의어나 다의어에 의하여 보통 나타난다. 예를 들면, 눈(겨울에 내리는 눈과 얼굴의 일부분인 눈), 밥(낮의 반대어인 밤과 과일나무의 일종인 밤) 배 (선박과 복부의 배 그리고 과일의 배)등 많은 수의 어휘가 중의성을 나타낸다.
1) 동음이의어의 경우 ~ 소리는 같지만 뜻이 다른 단어를 이른다.
예시) 저 말을 보아라.
가. 저 말(동물)을 보아라.
나. 저 말(언어)하는 꼴 봐라!
다. 저 말(연못에 자라는 식물)좀 보아라.
2) 다의어의 경우
예시) 손 좀 봐야 되겠다.
가. 손이 어떻게 생겼는지 봐야 되겠구나.(중심의미로 사용된 경우)
나. 기계가 고장나서 손 좀 봐야 되겠구나.(수리하다의 주변의미로 사용된 경우)
다. 그 놈 손 좀 봐야 되겠구나.( 혼이나다라는 주변의미로 사용된 경우)
3) 사동문의 경우
예시) 어머니께서 동생에게 직접 약을 먹이셨다.
가. 어머니께서 동생의 입속에 약을 털어 넣어 주셨다.(직접사동)
나) 어머니께서 약을 동생에게 주어 동생이 먹게끔 했다.(간접사동)
어휘적 중의성을 제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문맥에 필요한 정보를 더 첨가하는 방법이 있다.
예시) 저 아주머니의 뚱뚱한 배를 보아라.
가) 저 바다 위에 떠 있는 통통배를 좀 보아라.
나) 저 먹음직스러운 배를 좀 보아라.
2. 구조적 중의성
문장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하여 두 가지 이상의 의미로 해석되는 것으로 주로 수식어나 접속어에 의하여 중의성이 나타난다.
1) 수식어에 의한 중의성
수식어의 수식 범위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에시) 예쁜 숙희의 동생을 만났다.
가) 숙희가 예쁘다.(예쁜이 숙희를 수식)
나) 숙희의 동생이 예쁘다.(예쁜이 동생을 수식)
2) 접속어에 의한 중의성
접속어의 의미 기능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예시) 나는 아버지와 어머니를 만났다.
가) 나는 아버지와 둘이서 어머니를 만났다.
나) 나는 아버지와 어머니 두 사람 모두를 만났다.
3) 관형격 조사의 다의성
예시) 철수의 사진
가) 철수가 찍은 사진
나) 철수가 찍힌 사진
다) 철수가 소유한 사진
4) 안 부정문의 중의성(안,못 부정문의 중의성)
부정의 초점에 따라 부정 대상이 달라 짐
예시) 나는 영수를 몽둥이로 때리지 않았다.
가) 영수를 몽둥이로 때린 사람은 내가 아니다.(나를 부정)
나) 내가 영수를 때린 도구는 몽둥이가 아니다.(몽둥이를 부정)
다) 나는 영수를 몽둥이로 때린 것은 아니다.(때린 것을 부정)
5) 부사어에 의한 중의성
다, 모두, 많이 조금, 등의 부사어가 쓰이면 중의적으로 해석된다.
예시) 손님이 다 오지 않았다.
가) 온 사람이 하나도 없다.(전체부정)
나) 일부만 왔을 뿐이다. (부분 부정)
6) 중의적 이어짐
주어진 정보에 따라 홑문장이 되기도 하고 겹문장이 되기도 하는 경우
예시) 지난주에는 철수와 민수가 교실 청소를 했다.
가) 함께 날마다 교실청소를 했다.(분해 불가능-홑문장)
나) 둘이서 번갈아 날마다 교실 청소를 했다. (분해가능- 겹문장)
구조적 중의성을 제거하는 방법
1) 어순을 조절한다.
예시) 숙희의 예쁜 동생을 만났다.
가) 철수와 민수는 나를 만났다.
2) 쉼표(,)를 사용한다.
예시) 예쁜 숙희의 동생을 만났다.
3)필요한 정보를 더 첨가한다.
예시) 나는 철수와 민수를 둘 다 만났다.
이 외에도 중의성을 해소하는 방법으로 - 문맥을 통한 방법, -강세를 통한 방법,-부정하고자 하는 단어에 보조사 는, 도, 만을 결합하여 해소하는 방법도 있다.
6) 비유적 중의성
은유나 직유 등 비유적인 언어 표현으로 인해 두 가지 이상의 의미로 해석 되는 것
예시) 그는 곰이다.
가) 그는 미련한 놈이다.
나) 그는 마 순박하고 듬직하다.
다) 그의 별명은 곰이다 로 여러 가지로 해석되어 진다.
비유적 중의성을 제거하는 방법
문맥에 필요한 정보를 더 첨가한다.
예시) 박선생님은 학생들에게 매우 엄하시다. 그래서 학생들은 “박선생님은 호랑시다”라고 말한다.
* 중의적 표현의 특징
1) 해학이나 풍자 등에 활용된다.
2) 의미의 다양성으로 인해 문학작품의 예술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3) 의미를 한정하는 문맥이나 상황이 주어질 때는 중의성이 사라질 수도 있다.